데이터 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간단한 설명과 함께 실습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 RDBMS
: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Oracle, Mysql, Postgresql, Sqlite
데이터 테이블 사이에 키 값으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사이의 관계 설정으로 최적화된 스키마를 설정 가능
데이터 분류, 정렬, 탐색속도가 빠름
오래 사용된 만큼 신뢰성이 높음
스키마 수정이 어려움
*스키마: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만드는 디자인
- NoSQL
: Mogodb, Hbase, Cassandra
데이터 테이블 사이에 관계가 없이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사이의 관계가 없으므로 복잡성이 줄고, 많은 데이터 저장 가능
RDBMS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DB
확장성이 좋음 –데이터 분산처리 용이
데이터 저장이 유연함 – RDBMS와 다르게 구조의 변경이 불필요
스키마 및 join이 없음
collection 별로 관계가 없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가 들어있어야 함
key-value 형태의 json 포맷 사용
select는 RDBMS보다 느리지만 insert가 빨라 대용량 데이터 베이스에 많이 사용
트랜잭션이 지원되지 않음 (동시 수정에 대한 신뢰성이 지원되지 않음)
=> atm예시) 동시 인출을 하지 못 하게끔함
- Collection : table과 같은 개념
- Document : row와 같은 개념
- key : columns와 같은 개념
- Orcle
: 가장 성능이 좋은 DBMS
다양한 운영체제에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 지원
표준 SQL 사용
- MongoDB
: C++로 작성된 오픈소스 데이터 베이스
뛰어난 확장성과 성능을 가짐
이틀 간 로컬에서 HTML, CSS, JS로 만든 웹페이지를 WAS 서버에 연결하고 studio 3T를 사용하요 mongoDB에 접속하는 실습을 하였다. 자세한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로컬에서 html, css, js 파일 만듬
2. aws로 서버를 만듬
3. gitbash로 서버에 연결 (ssg-연결 / scp-파일전송)
-> 필요 정보 ip, user, pw
- WEB 파일 서버로 보내기
- 서버 접속
4. nginx V로 다른 사람들도 접속 가능하게 해줌
-> 8080 포트로 접속을 하면 5000포트로 연결해줌
5. studio 3T로 mongoDB 접속
-> 필요 정보 ip, user, pw
-> JS로 Query 작성 가능